포스터제작
#포스터제작 #포스터디자인 #홍보포스터제작
포스터제작과 포스터디자인, 한 번에 이해하는 기획·디자인 가이드본문
포스터제작은 단순한 이미지 제작이 아니라, 정보 전달과 설득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작업입니다. 특히 브랜드나 기업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 구조 까지 세심한 설계가 필수입니다. 포스터디자인을 잘하려면 ‘무엇을 보여줄지’보다 ‘무엇을 제거할지’를 먼저 판단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요소가 적을수록 메시지가 명확하게 살아나기 때문입니다.
포스터는 보통 몇 초 안에 시선이 머무르며, 짧은 순간 안에 메시지를 이해시켜야 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첫 관문은 비주얼 임팩트입니다. 포스터의 상단 혹은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 이미지 또는 그래픽은 주목도를 결정합니다. 이 요소가 포스터 분위기의 70%를 만든다고 해도 과하지 않습니다. 최근 트렌드는 복잡한 장면보다 단일 포인트 중심의 구성, 한두 가지 컬러만 사용하는 축소형 톤 디자인이 인기가 많은 편입니다.
문구 설계도 매우 중요합니다. 포스터는 광고 문구처럼 길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핵심 메시지는 6~10단어, 서브 메시지는 15단어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특히 제목(헤드라인)은 멀리서도 읽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서브 텍스트는 가독성을 위해 규칙적인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폰트는 같은 계열의 굵기만 변주해도 충분하여, 일반적으로 2종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포스터 제작은 인쇄용과 디지털용으로 나뉘는데, 두 가지는 반드시 따로 고려해야 합니다. 인쇄 포스터는 A2, A3처럼 정해진 물리적 규격과 여백(bleed), 색상 프로파일(CMYK)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면 SNS용 포스터는 1080×1350 세로형, 1080×1080 정사각형 등 플랫폼별 최적 사이즈를 활용해야 시인성·노출률이 높아집니다. 디지털 포스터는 너무 작은 글씨보다는 큼직한 구성을 선호하는 것이 현재 트렌드입니다.
색감 구조 역시 포스터디자인의 핵심 요소입니다. 메인 컬러 1개, 서브 컬러 1개를 기본으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중립색(화이트·그레이·블랙)으로 정리하는 방식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컬러 대비를 높여 제목과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위계화하면 멀리서 봐도 빠르게 읽히는 구조가 됩니다.
또한 레이아웃은 시각 동선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게 좋습니다. 사람의 시선은 보통 왼쪽 상단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하단으로 흐릅니다. 이 흐름을 깨지 않는 선에서, 타이틀 → 이미지 → 정보 → CTA 순서로 구성하면 가장 안정적이고 직관적인 포스터가 됩니다. CTA(Call To Action)는 ‘신청하기’, ‘예약하기’, ‘입장 무료’, ‘문의 0000-0000’ 등 행동을 유도하는 요소로, 하단에 크고 명확하게 배치해야 효과적입니다.
아래는 실제 디자인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포스터 제작 기획표입니다.
l 포스터제작 기획 체크 테이블 표
항목
|
설명
|
포스터 목적
|
행사 홍보, 브랜드 인지도 강화, 채용, 프로모션, 교육 모집 등 구체적으로 정의
|
타깃 설정
|
누구에게 노출되는가(고객, 학생, 지역 주민, 기업 내부 직원 등)
|
노출 환경
|
실내외, 건물 벽면, 지하철, 카페, SNS, 홈페이지 등
|
콘셉트 방향
|
심플, 브랜드 중심, 미니멀, 컬러 강조, 패턴 중심, 고급감 등
|
메인 비주얼
|
단일 오브젝트, 그래픽 심볼, 제품 이미지, 추상 패턴 등
|
헤드라인
|
1줄 핵심 문장 (6~10단어)
|
서브 카피
|
간단한 설명 1~2문장
|
필수 정보
|
날짜·장소·기간·혜택·문의처·로고 등
|
레이아웃 구조
|
상단 타이틀 / 중앙 비주얼 / 하단 정보 및 CTA 구성
|
색상 설계
|
메인 컬러 1개 + 서브 컬러 1개 + 중립색
|
사용 폰트
|
기본 1~2종, 굵기 변주 중심
|
파일 규격
|
인쇄: A2·A3·500×700mm / SNS: 1080×1080·1080×1350·1080×1920
|
출력 포맷
|
인쇄: PDF(300dpi, CMYK) / 온라인: JPG·PNG(RGB)
|
이와 같은 기획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진행하면, 정보 전달력, 시인성, 브랜드 톤 모두에서 균형 있는 포스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결국 포스터디자인은 단 한 장으로 브랜드의 성격과 메시지를 ‘즉시 이해시키는 능력’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 이전글책표지 및 책표지디자인 제작 가이드: 첫인상과 감성의 완성 25.11.21
- 다음글회사 사보제작,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사보 디자인의 모든 것 25.11.19